deep&wide

기록의 쌓임을 즐기려 노력합니다.

Welcome to My blog

STUDY/심리학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정보 처리 모델)

Fixer92 2024. 2. 25. 03:29

 

그렇다면 사람은 내적탐색, 즉 사람은 기억은 어떻게 구성될까요? 인지 심리학에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보고 있는 Information processing model를 통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aside> 💡 위 이미지의 출처인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사이트입니다. 아래 링크참고 해당 사이트는 인지 심리 이론과 행동 심리이론을 관련한 매주 정확하고 수준 높은 칼럼들이 많습니다! 꼭 한번 들어가서 보시길 추천드려요!

</aside>https://21erick.org/column/6152/

 

학습과학의 이해와 적용(8) - 정보처리모델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교

학습과학 원리는 ‘뇌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가?’와 ‘뇌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습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들이다. 이러한 원리의 이해와 적

21erick.org

 

  1. 입력정보(Input) : 외부에서 정보가 감각을 통해 받아 들여지는 단계, 이 정보는 시각,촉감,미각,청각,후각을 통해서 입력됨
  2. 감각 기억(Sensory memory) :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정보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감각기억에 저장됨 이 단계는 모든 감각 입력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며, 그 중 일부만이 다음 단계로 넘어감

해당 기억에 필터링은 사람의 관여도에 따라 주의가 달라집니다. 이와 관련해서 유명한 테스트가 있습니다. 한번 참여해보세요! 과연 농구공은 몇번 패스 되는걸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vJG698U2Mvo

 

영상에서 혹시 고릴라를 보셨나요?

  • 이렇게 감각기억에서 일부정보는 주의(Attention)를 통해 선택되어 단기기억으로 넘어감, 주의받지 못함 정보는 빠르게 사라짐
  1. 단기기억 (Short-term memory) 선택된 정보는 단기기억이나 작업기억에서 처리됨. 이 곳에서 정보는 15-30초 동안 유지되며, 반복 또는 정교화를 통해 장기기억으로 인코딩될 수 있음
    1. 밀러의 매직넘버 7 조지밀러(해당 모델 연구자) 는 단기기억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단위 수, 즉 '청크(chunk)'의 개수가 평균적으로 7개(±2)라고 제시함, 청크는 개별적인 정보 단위를 넘어서 정보를 그룹화하는 방식임. 숫자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단위로 그룹화하여 기억하는 것을 의미함. 이렇게 정보를 그룹화함으로써 사람은 단기기억의 제한된 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 이러한 주장 때문에 과거 전화번호의 변수 값이 7(±2)로 구성됨 (밀러의 매직넘버 7으로 유명하죠 ㅎㅎ)
    ex 010 - {9111}- {3333} , 032 - {355} - {3421} - P.S 다만 최근 후속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기기억의 용량이 개인에 따라, 그리고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 엘런배들리의 작업기억 모델
 

[UI/UX]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Feat. 밀러의 법칙)

어떤 일을 처리할 때, 우리는 머리 속에 잠시 내용을 넣었다가 이를 기억해내어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끔은 이를 잊어버리고 원활하게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유저

onve.tistory.com

 

 

반복효과 기업에서 목표 타겟에게 기업의 메시지를 담은 광고의 반복 노출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것을 기억의 간격효과(spacing effect) 라고도 하는데 자극과 자극간의 시간간격이 길어질수록 자극이 장기기억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 라는 이론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논문에서 확인해 보세요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37239

 

광고 회상에 미치는 광고의 간격효과 (Spacing Effect)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무드의 조절효과를 중

연구과제 상세정보 광고 회상에 미치는 광고의 간격효과 (Spacing Effect)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 무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ing Effect in Advertising Recall: The Moderating Effect of Program Mood

www.krm.or.kr

 

  1.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작업기억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동시에 이 정보를 처리(조작)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앨런 배들리에 의해 더 발전된 개념
    1. 중앙집행기(Central Executive):
      • 이는 작업기억의 핵심이며, 다른 두 하위 시스템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역할
      • 주의를 집중시키고, 계획을 수립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 관여함
      • 작업기억 내의 자원을 할당하고, 복잡한 인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데 필요한 멀티태스킹 능력을 갖고 있음
    2. 시각공간 스케치패드(Visuospatial Sketchpad):
      • 시각적 및 공간적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조작하는 역할
      • ex) 방을 걸어가면서 물건의 위치를 기억하거나, 지도를 머릿속에 그리는 등의 작업
    3. 음성루프(Phonological Loop):
      • 언어와 관련된 청각적 정보를 단기적으로 저장하고 반복함으로써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줌
      • ex) 사람들이 전화번호를 말로 반복해서 기억하는 것과 같은 작업
    4. 에피소딕 버퍼(Episodic Buffer):
      • 다양한 정보원에서 온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
      • 시각적, 공간적, 언어적 정보뿐만 아니라, 장기기억의 내용도 포함하여, 복합적인 장면이나 사건을 한데 모아둘 수 있는 저장소 역할
      • 이 버퍼는 중앙집행기와의 연결을 통해 보다 복잡한 인지 작업 도와줌
  2. Ex)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화를 이해하거나, 정보를 조직하는 과정 등에 관여함 작업기억은 중앙집행기, 시각공간 스케치패드, 음성루프, 에피소딕 버퍼 구성됨
  3. 주의 → 집행기능 → 응고화
    1. 주의 (Attention) : 주의는 우리가 많은 정보 속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에 인지적 자원을 집중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는 정보 처리 과정에서 첫 번째 단계로,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능력
      1. Ex) 칵테일 파티 효과
    2. 집행기능 (Executive Functions) : 집행기능은 복잡한 인지적 작업을 계획하고, 조정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상위 인지 과정의 집합입니다. 이는 문제 해결, 계획 수립, 결정 내리기, 주의 집중, 작업 기억 조작, 멀티태스킹 등을 포함됨
      1. Ex) 대학교에서의 기말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과정
        1. 프로젝트의 주제를 결정하고, 필요한 자료를 조사하고, 작업을 위한 계획을 세우며, 실제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를 준비해야 함 이 모든 과정에서 여러분은 정보를 조직하고, 시간을 관리하며,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고 목표에 집중하는 등의 집행기능을 사용함
    3. 응고화 (Consolidation) 응고화는 정보가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옮겨지는 과정을 의미, 이 과정은 학습한 정보를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데 중요함.
      1. Ex)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특정 단어나 문법 규칙을 처음 학습한 후에 반복 연습하고 사용함으로써 그 지식이 점차 장기기억에 저장됨. 처음에는 새로운 단어를 기억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해당 단어는 더 이상 의식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기억할 수 있게 됨.
  4. 유지시연(Maintenance Rehearsal)

정보를 단기기억에서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정보를 반복적으로 되뇌이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단기간에 기억해야 할 때 사용되는 전략, - Ex) 전화번호를 잊지 않기 위해 여러 번 되풀이 말하는 행위

유지시연을 통해 반복하는 동안에는 해당 정보를 기억할 수 있지만, 이 방법은 정보를 깊이 있게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효과적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음 그러므로 유지시연은 단기적인 기억 유지에는 유용하지만, 장기적인 기억 형성에는 정교화 유지시연(Elaborative Rehearsal)과 같은 더 깊은 처리 전략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
  1. 정교화 유지시연(Elaborative Rehearsal) 유지시연은 정보를 단기기억에 더 오래 보관하기 위해 그 정보를 반복적으로 되뇌이는 과정을 의미, 이 방식은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전환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단순히 정보를 반복하는 것보다는 정보를 의미 있게 처리하는 것이 장기기억으로의 전환에 더 효과적인데 이유는 아래와 같음
    • 의미 있는 연결: 새로운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사실, 개념,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더 강한 기억의 연결을 형성함
    • 심층 처리: 정보를 심층적으로 처리하면, 그 정보가 더 오랜 기간 동안 기억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층 처리는 정보의 표면적인 특징(ex: 단어의 글자 수)을 넘어 그 의미와 관련된 측면을 탐구
    • Ex) 새로운 외국어 단어를 배울 때 그 단어를 문장 속에서 사용하거나, 자신의 생활과 관련지어서 예를 만들어보는 것
  2.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정보는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장기기억은 거의 무한한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저장된 정보는 지식, 경험, 기술 등의 형태로 오랜 기간 동안 보존됩니다.
    1. 일화기억 개인적인 경험과 사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장기기억의 한 형태, 이 기억은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는 등의 공간적, 시간적 맥락을 포함하며, 개인적인 경험을 회상할 때 사용됨
      • Ex) 특정 생일 파티에서의 경험이나 첫 출근일의 기억
    2. 의미기억 (Semantic Memory) 의미기억은 사실, 개념, 언어 등과 같은 일반적인 지식을 저장하는 장기기억의 한 형태, 이 기억은 개인적인 경험과 독립적으로,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구성됨
      • Ex) 파리가 프랑스의 수도라는 사실이나, 사과가 과일이라는 개념 등이 의미기억
    3. 절차기억 (Procedural Memory)
      • Ex) 자전거,수영,스키 등
    4. 절차기억은 어떻게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기술과 절차를 저장하는 장기기억의 한 형태, 이 기억은 주로 무의식적으로 접근됨

 

반응형

'STUDY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messy middle  (1) 2024.02.25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 EKB(Engel Kollat Balckwell) Model  (1) 2024.02.25
GaP Model  (1) 2024.02.25